
우리는 일상생활 속에서
때때로 불쾌한 경험들과
마주하곤 합니다.
길에서 아무렇지 않게 침을 뱉는 사람,
운전 중 갑자기 끼어드는 차량,
공공장소에서 기본적인 매너를
지키지 않는 사람들…
이러한 순간들은 우리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때로는 분노나 짜증을 유발하며
하루의 기분을 망쳐놓기도 합니다.
우리는 종종 “왜 저런 사람들이 있는 걸까?” 혹은
“세상이 왜 이 모양일까?” 하고
한탄하곤 합니다.
그러나 오늘, 이 글을 읽는 당신에게
저는 그 모든 불쾌한 경험들조차도
결코 당신과 무관하게 일어나는 일이 아니며,
오히려 당신 자신의 내면의 소리(Inner Voice)와
타인에 대한 잘못된 전제(Assumption)가
만들어낸 그림자일 수 있음을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For with what judgment ye judge, ye shall be judged:
and with what measure ye mete, it shall be measured to you again.]
(Matthew 7:2, KJV)[너희가 비판하는 그 비판으로 너희가 비판을 받을 것이요
너희가 헤아리는 그 헤아림으로 너희가 헤아림을 받을 것이니라]
(마태복음 7:2, 새번역)
이 엄중한 말씀은,
우리가 타인을 향해 던지는 판단과 비판이
결국 우리 자신에게로
되돌아온다는 우주의 법칙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1. 세상은 당신의 거울: 타인은 당신의 전제를 연기한다
모든 만남은 내면의 반영
우리가 끊임없이 강조해왔듯이,
당신이 경험하는 모든 현실은
당신 자신의 의식(Consciousness)이
외부로 투영된 결과입니다.
세상은 당신의 내면 상태를 비추는
거대한 거울이며,
당신이 만나는 모든 사람들은
당신이 그들에 대해,
그리고 더 나아가 당신 자신에 대해
가지고 있는 전제(Assumption)를
연기하는 배우들과 같습니다.
만약 당신이 마음속 깊은 곳에서
“세상에는 무례한 사람들이 많다”,
“사람들은 이기적이고 배려심이 없다”,
“나는 늘 불쾌한 상황에 처한다”와 같은
부정적인 전제를 품고 있다면,
당신은 마치 자석처럼
그러한 전제를 확인시켜 줄
사람들과 상황들을
당신의 삶으로 끌어당기게 됩니다.
길에서 침을 뱉는 사람,
운전 중 끼어드는 차량,
매너 없는 행동을 하는 사람들은
결코 당신과 무관하게
존재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들은 당신 내면의
어떤 믿음이나 느낌(Feeling)이
현실이라는 무대 위에
등장시킨 배우들일 수 있습니다.
내면의 소리: 부정적인 드라마의 각본
우리의 내면의 소리(Inner Voice),
즉 우리 자신과의 끊임없는 대화는
이러한 부정적인 드라마의
각본을 쓰는 역할을 합니다.
만약 당신의 내면에서
“또 저런 사람이 있네”,
“정말 한심하다”,
“세상 참 살기 힘들다”와 같은
비판적이고 냉소적인 목소리가
끊임없이 울려 퍼지고 있다면,
당신은 자신도 모르게
그러한 장면들을 계속해서
연출하고 있는 것입니다.
당신의 잠재의식(Subconscious Mind)은
당신이 내면에서 반복적으로 되뇌는
그 생각과 감정들을
진실로 받아들이고,
그것을 외부 세계에
충실하게 반영하기 때문입니다.
2. 다른 사람에 대한 잘못된 전제 – 스스로 파는 함정
판단과 비판의 부메랑
우리가 타인에 대해
부정적인 전제를 가질 때,
그것은 마치 부메랑처럼
결국 우리 자신에게로 돌아와
우리의 현실을 어지럽힙니다.
“저 사람은 분명 이기적일 거야”라고
미리 판단해 버리면,
우리는 그 사람의 행동 속에서
이기적인 면모만을 찾아내려 하고,
설사 그 사람이 선의를 보인다 해도
그것을 의심하거나 왜곡해서
받아들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결국, 우리의 잘못된 전제는
상대방으로 하여금
우리가 예상한 바로 그 부정적인 역할을
수행하도록 유도하게 되고,
우리는 다시 한번
“내 생각이 맞았어”라고 확신하며
부정적인 순환의 고리를
강화하게 됩니다.
[Judge not, and ye shall not be judged:
condemn not, and ye shall not be condemned:
forgive, and ye shall be forgiven:]
(Luke 6:37, KJV)[비판하지 말라 그리하면 너희가 비판을 받지 않을 것이요
정죄하지 말라 그리하면 너희가 정죄를 받지 않을 것이요
용서하라 그리하면 너희가 용서를 받을 것이요]
(누가복음 6:37, 새번역)
이 말씀은 우리가 타인에 대한
판단과 비판을 멈출 때,
비로소 우리 자신도
그러한 부정적인 경험으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음을
가르쳐줍니다.
세상을 바꾸고 싶다면, 나부터 변화하라
길에서 마주치는 무례한 사람들을
바꾸고 싶습니까?
더 이상 불쾌한 경험을
하고 싶지 않으십니까?
그렇다면 당신은
그들을 바꾸려 하거나
세상을 탓하려 하기 전에,
먼저 당신 자신 안에 있는
그들에 대한 전제(Assumption)와
내면의 소리(Inner Voice)를
변화시켜야 합니다.
1. 알아차림과 책임 수용:
먼저, 당신이 타인에 대해
어떤 부정적인 생각이나 판단을
일상적으로 하고 있는지
정직하게 알아차리십시오.
그리고 그러한 내면의 상태가
외부의 불쾌한 경험을
끌어당기고 있음을
인정하고 책임을 수용하십시오.
2. 수정의 기술 적용:
불쾌한 경험을 했거나
타인에 대한 부정적인 판단이 떠오를 때마다,
즉시 수정(Revision)의 기술을 사용하십시오.
그 장면을 당신이 원했던
이상적이고 조화로운 모습으로
마음속에서 다시 그려내십시오.
무례했던 사람이 오히려 친절을 베풀거나,
불쾌했던 상황이 평화롭게 해결되는
장면을 생생하게 느끼십시오.
3. 사랑과 이해의 전제 심기:
타인에 대한 비판적인 전제 대신,
사랑과 이해, 존중의 전제를
마음속에 심으십시오.
모든 사람은 근본적으로
선하며 사랑받을 가치가 있다는 믿음을
내면에서부터 키워나가십시오.
“세상에는 좋은 사람들이 더 많다”,
“사람들은 서로 돕고 이해하려 한다”와 같은
긍정적인 내면의 대화(Inner Talking)를
의식적으로 반복하십시오.
4. 이미 변화된 현실을 살아가기:
이러한 새로운 전제를 마음에 품었다면,
일상생활에서도 이미 당신 주변의 사람들이
더 친절하고 배려심 깊어졌다고
가정(Assume)하고 행동하십시오.
당신 먼저 미소를 건네고,
작은 친절을 베풀며,
타인을 존중하는 태도를 보이십시오.
당신의 내적 변화는
반드시 외부 세계에
긍정적인 파동을 일으킬 것입니다.
결론: 당신의 내면이 세상을 아름답게 합니다
길에서 마주치는 무례함과
세상의 불쾌한 모습들은
결코 당신과 분리된
외부의 문제가 아닙니다.
그것들은 당신 자신의
내면의 소리(Inner Voice)와
타인에 대한 잘못된 전제(Assumption)가
만들어낸 그림자일 뿐입니다.
당신이 당신의 내면을
사랑과 이해, 존중과 감사로 채우고,
세상과 타인에 대해
긍정적이고 아름다운 전제를 품을 때,
당신이 경험하는 현실 또한
그 내면의 빛을 반영하여
점차 아름답고 조화롭게
변화해 나갈 것입니다.
세상을 바꾸고 싶다면,
가장 먼저 당신 자신을 바꾸십시오.
당신의 상상력(Imagination) 안에
모든 창조의 힘이 있습니다.